국도 제169호선 (일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169호선 (일본)은 나라현 나라시를 기점으로 와카야마현 신구시를 종점으로 하는 일반 국도이다. 기이 반도의 산간부를 통과하며, 교토 및 한신 지역에서 구마노시나 신구시로 가는 최단 루트로 기능한다. 1953년 2급 국도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차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다. 총 연장은 190.3km이며, 벚꽃 명소인 요시노산을 지나 관광객의 이용도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현의 도로 - 국도 제25호선 (일본)
국도 제25호선은 미에현 요카이치시에서 오사카부 오사카시를 잇는 총 연장 230.6km의 국도로, 과거 나라 가도의 일부를 계승하며 메이한 국도와 병행하거나 좁고 험난한 "메이한 험난한 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여러 국도와 중복되는 구간이 있다. - 나라현의 도로 - 국도 제168호선 (일본)
국도 제168호선은 와카야마현 신구시에서 오사카부 히라카타시를 잇는 총 연장 187.9km의 국도로, 여러 국도와 중복 구간이 존재하며 산악 지역을 통과하는 특성상 터널이 많고 우회 도로가 건설되었으나, 과거 산사태 및 낙석 피해와 노후화된 시설 정비가 과제이다. - 와카야마현의 도로 - 국도 제26호선 (일본)
국도 제26호선은 오사카에서 와카야마를 잇는 총연장 약 71.8km의 간선도로로,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다양한 국도와 교차하고, 기슈 가도와 효시고에 가도의 일부를 계승했으나, 교통 체증, 시설 노후화, 폭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와카야마현의 도로 - 국도 제168호선 (일본)
국도 제168호선은 와카야마현 신구시에서 오사카부 히라카타시를 잇는 총 연장 187.9km의 국도로, 여러 국도와 중복 구간이 존재하며 산악 지역을 통과하는 특성상 터널이 많고 우회 도로가 건설되었으나, 과거 산사태 및 낙석 피해와 노후화된 시설 정비가 과제이다. - 미에현의 도로 - 도카이도
도카이도는 혼슈 태평양 연안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대에는 간토와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현재는 국도, 철도, 신칸센 등으로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 미에현의 도로 - 국도 제25호선 (일본)
국도 제25호선은 미에현 요카이치시에서 오사카부 오사카시를 잇는 총 연장 230.6km의 국도로, 과거 나라 가도의 일부를 계승하며 메이한 국도와 병행하거나 좁고 험난한 "메이한 험난한 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여러 국도와 중복되는 구간이 있다.
국도 제169호선 (일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169 |
총 연장 | 190.3 km |
실제 연장 | 167.8 km |
현도 | 159.3 km |
제정 | 1953년 |
연신 | 1993년 |
노선 정보 | |
기점 | 나라현 나라시 겐초히가시 교차로 (34°41′3.89″N 135°50′5.04″E) |
주요 경유 도시 | 나라현 사쿠라이시 나라현 요시노군 요시노정 미에현 구마노시 |
종점 | 와카야마현 신구시 하시모토 교차로 (33°43′9.00″N 135°59′13.07″E) |
주요 연결 도로 | |
연결 도로 | 국도 제369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165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16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370호선 국도 제309호선 |
기타 | |
이전 노선 번호 | 168 |
다음 노선 번호 | 170 |
![]() | |
노선 설명 | |
특이 사항 | 를 경유함 |
2. 노선 정보
국도 제168호선처럼 대부분 구간이 잘 정비되어 있다. 그러나 기이반도의 험준한 산간 지대를 중심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구마노시 이남 지역은 정비가 미흡하여 좁은 길이 남아 있는 특징이 있다. 국도 제42호선, 国道309号|국도 제309호선일본어과 함께 게이한신 지구에서 구마노시와 신구시 이남으로 이어지는 최단 경로로 기능한다. 다만, 요시노정에서 시모키타야마촌 사이 구간은 겨울철에 눈이 많이 쌓이며, 최남단인 와카야마현 구간은 국도 제168호선과 중복된다. 연선에는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벚꽃 명소인 요시노산이 있어, 관광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노선이다. 해당 노선은 나라현의 도쓰카와촌을 살짝 거치고 있으며, 이 구간의 관리 주체는 나라현이 아닌 와카야마현이다.[3]
일반 국도의 노선을 지정하는 정령에 따른 기점, 종점 및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 기점 : 나라시 (겐초히가시 교차로 = 국도 제369호선 교점)
- 종점 : 신구시 (하시모토 교차로 = 국도 제42호선 교점이자 국도 제168호선의 기점)
- 중요한 경과지 : 덴리시, 사쿠라이시, 가시하라시,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 같은 군 요시노정, 같은 군 가미키타야마촌, 같은 군 시모키타야마촌, 구마노시,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마노가와정

기점인 나라현 나라시에서 중화 지역인 사쿠라이시, 가시하라시와 타카이치군 아스카무라, 타카이치군 타카토리정을 남하한다. 이후 나라현 남동부에 해당하는 요시노군 요시노정, 요시노군 가와카미무라, 요시노군 카미키타야마무라, 요시노군 시모키타야마무라를 경유한다. 그 후에는 미에현 쿠마노시와 와카야마현의 월경지인 히가시무로군 키타야마무라를 통과하여 신구시 구마노가와정부터는 국도 제168호선과 중복되며, 종점 신구시에 이른다.
대체로 정비가 잘 된 국도이지만, 기이반도의 험준한 산간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구마노시 이남에는 미정비된 협소한 도로가 남아 있다.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309호선 등과 함께 교토-한신 지역에서 구마노시나 신구시 이남으로 가는 최단 루트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요시노군 요시노정에서 요시노군 시모키타야마무라까지 구간은 겨울철에 결빙이나 적설이 있다.
연선에는 일본 최고의 벚꽃 명소인 요시노산이 있기 때문에, 행락 목적의 이용도 많은 노선이다. 또한, 신오바마미네 터널 바로 북쪽에서는 오오다이가하라로 가는 유일한 접근 도로인 나라현도 제40호 대다이가하라공원가와카미선(대다이가하라 드라이브웨이)과 연결되어 있다.
총연장, 중용 연장, 실 연장, 현도, 구도, 신도는 아래와 같다.
道路法|도로법일본어(쇼와 27년 법률 제180호)에 기초한 2급 국도로, 최초로 지정된 2급 국도 노선 중 하나이다. 국도 지정 당시에는 신구시에서 미나미무로군 木本町|기노모토정일본어[38]을 거쳐 야마토타카다시까지 이르는 노선으로 지정되었다. 당시 국도 제168호선과 마찬가지로 기종점이 모두 2급 국도 시절부터 같이 존재하게 되는 형제 노선이었으며, 신구시에서 미나미무로군 기노모토정까지의 구간은 2급 국도 170호선(現 42번 국도의 일부)과 중복되었다.
지정 구간은 국도 제24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다.[9]
3. 역사
1953년 5월 18일, 미에현 미나미무로군 기노모토정을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와 잇는 2급 국도로 지정되었다.[2]
1975년(쇼와 50년)에는 구마노시 경유에서 국도 168호선과 중복되는 와카야마현히가시무로군구마노가와정 경유로 변경되었고, 구 도로 중 구마노시 아스카정 고사카 - 구마노시 고고정 토자키 구간은 1970년(쇼와 45년)에 지정된 국도 제309호선의 단독 구간이 되었다. 나라현 요시노군가미키타야마촌 - 요시노군 오요도정 구간도 국도 309호선이 요시노군 아마가와촌 경유로 변경되었다.
1993년(헤이세이 5년)에는 나라시에서 가시하라시에 이르는 구간을 편입함으로써 현재의 국도 169호선 구간이 되었다.
3. 1. 연표
3. 2. 2007년 대규모 재해
2007년(헤세이 19년) 1월 30일 오전 7시 30분경, 나라현 요시노군 가미키타야마촌 니시하라 부근에서 큰 산사태가 발생하여, 지나가던 승용차 1대가 매몰되어 3명이 사망했다.[1] 해당 구간은 경사면 지반이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어 복구 공사에 2개월 이상이 걸렸다.[1] 같은 해 4월 20일 오후 5시부터 통행 제한이 해제되었고, 임시로 단차로 교행하는 방식으로 통행이 재개되었다.[1] 이후 영구적인 재해 복구 공사가 이루어져 같은 해 9월 28일에는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다.[1] 그러나 이 재해로 인해 가미키타야마 도로 건설이 추진되어, 현재는 와사마타 터널을 통해 재해 구간을 우회할 수 있다.[1]
4. 도로 상황
국도 제169호선은 도로 상황이 여러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중복 구간'''
- * 국도 제25호선 : 나라현 덴리시 가와하라조마치 교차로 - 덴리시 마가리다마치 교차로
- * 국도 제165호선·국도 제166호선 : 나라현 사쿠라이시 다니 교차로 - 가시하라시 효부초 교차로
- * 국도 제24호선 : 나라현 가시하라시 가시하라우체국 앞 교차로 - 가시하라시 효부초 교차로
- * 국도 제370호선 : 나라현 오요도정 쓰치다 교차로 - 요시노정 미야타키오하시 북쪽 교차로

- * 국도 제309호선 : 나라현 가미키타야마촌 니시하라텐가세 - 미에현 구마노시 고고정 모모자키
- * 국도 제311호선 : 나라현 도쓰카와촌 다케토 -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미야이
- * 국도 제168호선 :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미야이 - 종점
- '''주요 시설'''
==== 터널 ====
- 아시와라 터널·신아시와라 터널 (770m, 706m)
- 고샤 터널 (1360m)
- 신오바미네 터널 (1964m)
- 와사마타 터널 (924m)
- 히가시노 터널 (1389m)
- 토로쿄 터널 (2049m)
- 시타키 터널 (1212m)
==== 휴게소 ====
- 나라현
- * 아스카 (다카이치군 아스카촌)
- * 요시노지 오요도 아이센터 (요시노군 오요도정)
- * 스기노유 가와카미 (요시노군 가와카미촌)
- * 요시노지 가미키타야마 (요시노군 가미키타야마촌)
- 와카야마현
- * 오쿠토로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
- * 도로쿄카이도 구마노가와 (신구시)
4. 1. 도로 개량

- 사쿠라이 우회도로: 나라현 사쿠라이시 하시나카에서 가미노쇼까지 이어지는 우회도로이다.[12] 총 길이는 2,083m이며, 2차선으로 2003년 3월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다카토리 우회도로: 나라현 다카이치군 다카토리정 효고에서 시미즈다니까지 이어지는 우회도로이다. 총 길이는 3.4km이며, 제3종 제2급, 2차선, 시속 60km로 설계되었다.[13] 1998년도에 사업이 시작되었고, 일부 구간은 2012년에 개통되었으며,[14] 2025년도에 전 구간 개통될 예정이다.
- 오바타니 도로: 나라현 가와카미촌 오바타니에 건설된 우회도로로, 2003년 1월에 완공, 개통되었다.
- 오바미네토게 도로: 나라현 가와카미촌 오바타니와 가미키타야마촌 니시하라 사이에 건설 중인 우회도로이다. 1966년에 개통된 신오바미네토게 터널(1964m)의 노후화 및 건축 한계 부족으로 인해 2.9km의 새 터널을 포함한 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2016년부터 국가 권한 대행 사업으로 진행 중이며, 2018년 12월에 기공식이 열렸다.
- 가미키타야마 도로: 나라현 요시노군 가미키타야마촌 니시하라에 건설된 우회도로로, 총 길이는 1.1km이며, 그 중 0.9km는 와사마타 터널이다. 2007년 대규모 재해에 따라 사업이 추진되었고, 2012년 3월에 완공, 개통되었다.
- 다케하라 확폭: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 나나이로에서 다케하라까지의 구간을 개량하는 사업이다. 총 길이는 1.2km이며, 2차선으로 설계되었다.
- 오쿠토로 도로: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 고마츠에서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다마키구치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기타야마촌에서 신구시 구마노가와정에 걸쳐 국도 제169호선의 교통 불가능 구간을 해소하고, 기타야마강의 도롯쿄를 따라 좁고 선형이 불량하며 재해가 잦은 구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 중이다. 선형 불량 구간 및 이상 기상 시 통행 제한 구간은 터널과 교량으로 우회하고, 현도 활용이 가능한 구간은 확폭, 개량하며 사면 대책을 실시할 예정이다.
구분 | 구간 | 노선 길이 | 개통 시기 |
---|---|---|---|
1단계 |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 고마츠 -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다마키구치 (나라현 요시노군 도쓰카와촌 가미게 경유) | 약 6.3km | 2008년 7월 |
2단계 |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다마키구치 -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구쥬 (나라현 요시노군 도쓰카와촌 다케쓰쓰 경유) | 약 5.2km | 2015년 9월 13일 |
3단계 |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 시모오이 -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 고마츠 | 약 3.5km | (미개통) |
- 미야이 우회도로: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구쥬에서 시타키까지 이어지는 우회도로이다. 총 길이는 2.1km이며, 2차선(폭 11.0m)이다. 2008년 7월 12일 시타키 터널(1.2km)을 포함한 1.3km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9년 3월 나머지 0.1km도 개통되어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기타: 국도 제169호선과 국도 제168호의 분기점 부근 구마노강을 건너는 미야이오하시는 2009년도부터 교체 사업이 시작되어 2015년 8월 30일에 새 다리가 개통되었다.
4. 2. 별칭
4. 3. 중복 구간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 신노]]- 국도 제309호선 (나라현 가미키타야마촌 니시하라텐가세 - 미에현 구마노시 고고정 모모자키)
- 국도 제311호선 (나라현 도쓰카와촌 다케토 -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미야이)
- 국도 제168호선 (와카야마현 신구시 구마노가와정 미야이 - 종점)
4. 4. 주요 시설
이 도로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터널 ====
- 아시와라 터널·신아시와라 터널
- 고샤 터널
- 신오바미네 터널
- 와사마타 터널
- 히가시노 터널
- 토로쿄 터널
- 시타키 터널
==== 휴게소 ====
- 나라현
- * 아스카
- * 요시노지 오요도 아이센터
- * 스기노유 가와카미
- * 요시노지 가미키타야마
- 와카야마현
- * 오쿠토로
- * 도로쿄카이도 구마노가와
4. 4. 1. 터널
- 아시와라 터널·신아시와라 터널 (770m, 706m)
- 고샤 터널 (1360m)
- 신오바미네 터널 (1964m)
- 와사마타 터널 (924m)
- 히가시노 터널 (1389m)
- 토로쿄 터널 (2049m)
- 시타키 터널 (1212m) : 2007년(헤이세이 19년) 6월 15일에 관통. 참고로 가칭은 미야이 터널이었다.
4. 4. 2. 휴게소
5. 지리
국도 제168호선과 마찬가지로 거의 제대로 잘 갖추어져 있는 도로로 깔끔하게 정비되어 있다. 그러나, 기이반도의 험준한 산간 지대를 중심으로 관통되어 있지만, 구마노시 이남 지역의 경우 정비가 되지 않아 협소한 길로 남아 있게 되는 특색을 둔다.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309호선과 더불어 게이한신 지구에서 구마노시와 신구시 이남으로 이어주는 최단 루트로도 기능한다. 다만, 요시노정에서 시모키타야마촌 사이의 구간은 겨울철에 눈이 많이 쌓이는 편이다.[3] 연선에는 요시노산이라는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벚꽃 명소가 있기 때문에, 행락을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노선 중 하나이다. 해당 노선은 나라현의 도쓰카와촌을 살짝 거치고 있으며, 같은 촌내의 관리자 역시 나라현이 아닌 와카야마현의 명의로 등록되어 있다.
기점인 나라현 나라시에서 중화 지역인 사쿠라이시, 가시하라시와 다카이치군 아스카무라, 다카토리정을 남하하여, 나라현 남동부에 해당하는 요시노군 요시노정, 가와카미무라, 가미키타야마촌, 시모키타야마촌을 경유한다. 그 후에는 미에현 구마노시와 와카야마현의 비지로 알려진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을 통과하여 신구시 구마노가와정부터는 국도 제168호선과 중복되며, 종점 신구시에 이른다.
대체로 정비가 잘 된 국도이지만, 키이반도의 험준한 산간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구마노시 이남에는 미정비된 협소한 도로가 남아 있다.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309호선 등과 함께 교토-한신 지역에서 구마노시나 신구시 이남으로 가는 최단 루트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요시노군 요시노정에서 요시노군 시모키타야마무라까지 구간은 겨울철에 결빙이나 적설이 있다.
연선에는 일본 최고의 벚꽃 명소인 요시노산이 있기 때문에, 행락 목적의 이용도 많은 노선이다. 또한, 신오바마미네 터널 바로 북쪽에서는 오오다이가하라로 가는 유일한 접근 도로인 나라현도 제40호 대다이가하라공원가와카미선(대다이가하라 드라이브웨이)과 연결되어 있다.
5. 1. 통과하는 지자체
- 나라현
- * 나라시 - 덴리시 - 사쿠라이시 - 가시하라시 - 다카이치군 아스카촌 - 다카이치군 다카토리정 - 요시노군 오요도정 - 요시노군 요시노정 - 요시노군 가와카미촌 - 요시노군 가미키타야마촌 - 요시노군 시모키타야마촌
- 미에현
- * 구마노시
- 와카야마현
- * 히가시무로군 기타야마촌
- 나라현
- * 요시노군 도쓰카와촌
- 와카야마현
- * 신구시
5. 2. 교차하는 도로
국도 제169호선은 나라현과 와카야마현을 잇는 일반 국도로, 다음과 같은 도로들과 교차한다.교차하는 도로 | 교차하는 위치 | 비고 |
---|---|---|
국도 제369호선 | 나라시 현청 동쪽 | |
나라현도 제80호 나라나가리선 | 나라시 복치원 북쪽 | |
나라현도 제41호 나라야마토군산선 | 나라시 고이치정 남쪽 | |
나라현도 제51호 텐리환상선 | 나라시 (쿠보노쇼정) | |
나라현도 제51호 텐리환상선 | 나라시 쿠보노쇼 남쪽 | |
니시메이한 자동차도 텐리IC, 국도 제25호선 (메이한 국도), 나라현도 제51호 텐리환상선 | 텐리시 텐리 나들목 | |
나라현도 제36호 텐리오우지선 | 텐리시 삼매전 | |
나라현도 제51호 텐리환상선 | 텐리시 사보쇼 | |
나라현도 제51호 텐리환상선 | 텐리시 야마토신사 앞 | |
나라현도 제51호 텐리환상선 | 텐리시 (야나기모토정) | |
나라현도 제50호 야마토타카다사쿠라이선 | 사쿠라이시 마키노우치 | |
나라현도 제50호 야마토타카다사쿠라이선 | 사쿠라이시 하시나카 | |
나라현도 제14호 사쿠라이타와라와왕지선 | 사쿠라이시 카스가신사 앞 | 〈사쿠라이 바이패스〉 교차점 |
나라현도 제15호 사쿠라이아스카요시노선 | 사쿠라이시 아베 | |
국도 제165호선 (〈사조도로〉, 〈가시하라 바이패스〉) | 가시하라시 코부사 | |
나라현도 제35호 가시하라타카토리선 | 타카이치군 타카토리정 시모토사 | |
나라현도 제15호 사쿠라이아스카요시노선 | 오요도정 미요시노바시 북쪽 끝 | |
나라현도 제39호 고죠요시노선 | 오요도정 요시노오하시 북쪽 끝 | |
나라현도 제39호 고죠요시노선 | 요시노정 사쿠라바시 북쪽 끝 | |
나라현도 제15호 사쿠라이아스카요시노선 | 요시노정 카와라야 서쪽 | |
나라현도 제28호 요시노무로우지바리선 | 요시노정 카와라야 | |
나라현도 제39호 고죠요시노선 | 요시노정 미야타키 | |
나라현도 제40호 오다이가하라공원카와카미선 | 가와카미촌 (오바야) | |
국도 제425호선 | 시모키타야마촌 이케하라 | |
국도 제425호선 | 시모키타야마촌 카미이케하라 | |
와카야마현도 제52호 미하마키타야마선 |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키타야마촌 (오누마) | |
와카야마현도 제44호 나치카츠라쿠마노가와선 | 신구시 신마루 |
이 외에도, 일부 구간에서는 국도와 현도가 중복되거나 분기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5. 2. 1. 국도
국도 제25호선 〈명한국도〉 텐리IC나라현도 51호 텐리환상선